이미솔은 타고난 성실함을 바탕으로 작업한다. 매일 작가는 작업 루틴routine에 따라, 여러 구획으로 나눈 화면을 한 구획씩 채워가거나, 큰 이미지의 일부를 이루는 다수의 작은 화폭들을 하나씩 완성해 나간다. 작가의 작품 속에는 나날의 호흡과 긴 시간의 흐름이 담겨 있다. 처음엔 자신이 작가로 존재한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하기 위해 만든 작업 루틴은, 이제는 작가가 현실에서 균형 감각을 유지하는 근간이다.
작가는 실제 경험을 토대로 작업의 소재를 찾는다. 자신이 일상에서 직접 느끼고 관찰한 것들을 그린다. 작가의 리얼리스트적 면모와 사실에 단단히 뿌리박은 작업 내용은 관람자들에게 안정감을 선사하고, 평범하게 이어지는 날들이 얼마나 특별하며 소중한 것인지 깨닫게 한다.
작가의 작업을 추동推動하는 요소는 두 가지다. 하나는 ‘자연’이다. 자연은 작가의 내면을 치유하고 자유롭게 만드는 대상이기에, 작가는 자연에 당위적으로 끌린다. 다른 하나는 ‘작업 과정’이다. 오늘의 작업 과정은 오늘로 완결되는 결과를 도출하기도 하지만 내일의 작업에 대한 흥미와 아이디어를 유발하는 촉매제가 되기도 한다. 오늘이 내일의 근거가 되는 작업의 연쇄적 흐름은 삶 자체와 닮아 있다.
이미솔은 규칙적인 작업 루틴 안에서 생활과 작업이 밀착하고 맞물려 돌아가기를 원한다. 작가는 일정한 리듬으로 작업을 이끌어 가며 자신의 삶과 내면의 균형을 잡는다. 작가에게 좋은 삶을 사는 것과 좋은 작품을 그리는 것은 서로 다르지 않다. 이미솔의 근면한 작업 방식은 ‘작가로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작가 나름의 대답이며, 작가가 예술을 삶과 일치 시키는 방법이다.
With inherent diligence, Lee Misol adheres to her daily work routine. She paints each section of the divided canvas one by one or completes small canvases that collectively form parts of larger works. Her paintings reflect the rhythm of everyday breathing and the passage of extended hours. This routine was devised as a means to prove herself as an artist, and it has now become a cornerstone for her to maintain a sense of balance in reality.
The artist draws inspiration directly from her own life experiences. She paints what she feels and observes in her daily life. Firmly grounded in her personal realities and content, the artist’s works provide viewers with a sense of stability while also enabling them to appreciate how ordinary days can be extraordinary and precious as time passes.
There are two driving factors behind the artist’s work: the first is ‘nature’. Because nature is the source of healing and liberation for the artist, she is naturally drawn to it. The other is the ‘creative process’. While today’s progress may lead to the completion of the end product today, it may also serve as a catalyst to spark interest and for tomorrow’s work. The sequential flow of work, where today becomes the foundation for tomorrow, mirrors life itself.
Lee Misol aspires for her personal life and artistic career to be closely intertwined within her regular work routine. The artist maintains a steady rhythm in her work and strikes a balance between her personal life and her inner self. For her, optimal well-being is synonymous with producing exceptional work. Misol’s diligent approach to her work serves as both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it means to live as an artist’ and a method for aligning art with life.
이미솔 Lee Misol
b.1992
Education
2019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서양화전공 석사 졸업 • 2016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서양화전공 졸업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2 날, 붓질, 에이라운지, 서울 • 2020 C, 규칙, 그림들, 예술공간 서:로, 서울 • 2020 Task 1 : 꼬리 무는 그림, 가창창작스튜디오 스페이스 가창 B, 대구 • 2020 그림, 사물, 그림, 프로젝트스페이스 우민(우민아트센터 內 카페우민), 청주 • 2018 X씨의 작업실, 아트컴퍼니 긱, 서울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3 넘기고, 펼치는 Unfolded, 교보아트스페이스, 서울 • 2023 성냥쌓기, 175갤러리, 서울 • 2023 Dear Spring 친애하는 봄, 영등포아트스퀘어, 서울 • 2022 Driving Road to Summer, 그블루 갤러리, 서울 • 2022 형이하의 다이버전스 #3 Vuja Dé(문득 낯선), 공간형, 서울 • 2021 시리얼즈(Serials), 레인보우큐브, 서울 • 2021 애프터 스트레칭, 고유의 작업실, 서울 • 2021 오늘, 순간, 감정, 아트사이드 갤러리, 서울 • 2020 Ways of Being(가창창작스튜디오 성과보고전), 갤러리 토마, 대구 • 2020 거_리두기(가창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초대전), 북구문화재단 어울아트센터, 대구 • 2019 Drawing on Paper, 예술공간 서:로, 서울 • 2018 사물의 알리바이, 동덕아트갤러리 B홀, 서울 • 2018 가설의 역설, 스페이스 55, 서울 • 2017 동전 한 개를 던질 때 나오는 경우의 수, 4LOG artspace, space 15th, 서울 • 2016 제 1회 뉴 드로잉 프로젝트,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양주
Selected Awards
2022 서울문화재단 창작활동지원 선정 • 2021 소마미술관 드로잉센터 아카이브 등록작가
Selected Residencies
2020 대구문화재단 가창창작스튜디오 20기 입주작가
Selected Public Collections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